none


dongA.com

전체검색

뉴스 > 방송/연예 > 국제문화

중국 시청자, 고학력 고소득일수록 ‘미드’, 저학력 저소득일수록 ‘한드’

기사입력 2013-07-19 03:00:00 기사수정 2013-07-19 10:21:44
강명구 서울대 교수팀 ‘중국 시청자 드라마 소비 취향’ 분석

학력과 소득 수준이 높은 중국인들은 미국과 일본 드라마를, 낮은 이들은 한국과 대만 드라마를 즐겨 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인 한국드라마(한드) 팬들은 한국 시청자들처럼 “막장이다”라고 욕하면서도 한드를 즐겨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명구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연구팀은 KBS 방송문화연구 최신호에 논문 ‘중국 텔레비전 시청자의 드라마 소비 취향 지도’를 발표했다. 베이징에 사는 20∼50대 393명을 대상으로 중국 TV와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본 중국 미국 홍콩 한국 대만 일본 드라마 각 20편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댓글 2만 개를 분석해 쓴 논문이다.

연구 결과 가장 좋아하는 수입 드라마로 응답자들의 47.6%가 미국드라마(미드)를 꼽았다. 이어 홍콩(31.8%) 한국(28.2%) 대만(15.8%) 일본(10.2%) 드라마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복수 응답)

연구팀은 이들의 드라마 소비 취향을 학력과 소득 수준에 따라 네 가지로 분류했다.

학력과 소득 수준이 모두 높은 이들은 ‘이성적이고 경쾌한 감성’의 드라마를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속하는 드라마는 미드인 ‘빅뱅이론’ ‘프렌즈’ ‘CSI’ ‘섹스앤드더시티’, 일드 ‘노다메 칸타빌레’ ‘호타루의 빛’ 등이다. 응답자들은 미드를 좋아하는 이유에 대해 스토리의 의외성, 빠른 전개와 긴장감을 들었다.

반대로 학력과 소득 수준이 낮은 시청자들은 ‘비논리적, 감정 과잉 분출의 감성’ 드라마 취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됐다. 논문에 따르면 “비논리적 상황 속에 감정의 과잉 분출을 간접 체험하면서 대리만족을 얻는” 한드 시청자들이다. 한드에 대해 시청자들은 “막장이다”(‘천 번의 입맞춤’) “한국은 남편이 바람피우는 걸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느냐”(‘조강지처클럽’) “한드를 보는 데는 머리가 필요 없다. 머리를 쓴다 해도 이야기 전개 과정이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청담동 앨리스’)는 댓글을 남겼다.

학력은 낮지만 소득 수준이 높은 계층에서는 ‘현실적이고 논리적인 감성’ 드라마 취향이 발견됐다. 이들은 한드 ‘넝쿨째 굴러온 당신’에 대해 “고부 간 갈등을 현실에서 해결할 수 있는 힌트를 얻었다”, 동성애를 다룬 가족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에 대해선 “보통 가정의 희로애락을 보여준다. 평범하기 때문에 감동을 준다”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자신이 처한 현실과 드라마가 재현하는 현실 사이에서 공명하며 같이 슬퍼하고 기뻐하고 위로받는다”고 분석했다.

반대로 소득은 적고 학력이 높은 사람들은 ‘로맨틱 트렌디 감성’의 드라마 취향으로 한드 ‘시티헌터’와 일드 ‘꽃보다 남자’ ‘고쿠센’ 등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실에서 일어날 법하지 않으나 스토리의 개연성은 높아 시청자들이 ‘나에게 저런 일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할까’라고 상상하면서 본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중국인들의 전체 수입 드라마 소비에서 한드 소비가 차지하는 위상, 한류 드라마가 중국인들의 어떤 취향에 소구하는가를 보여준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진영 기자 ecolee@donga.com


  • Facebook
  • twitter
  • Pinterest
  • me2day
  • cyworld
  • naver
  • google
  • 프린트
  • 이메일
  • 스크랩

베스트댓글

  • 베스트 답글
    페이스북
    후쿠시마펑
    세계적으로 욕먹기전에 작가.피디들 수준좀 높여라 별 그지같은 늠들...07월19일
    추천(22) 비추천(0)

T Talk 소셜댓글 달기

SNS 로그인

  • 동아닷컴선택
  • 페이스북 페이스북선택
  • 트위터 트위터선택
  • 미투데이 미투데이선택
  • 요즘 요즘선택
150
답글 입력하기
설정 친구: 0
다른계정으로 로그인
함께 전송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미투데이
  • 요즘
로그아웃
입력

파일첨부

Poll첨부 동영상첨부
  • 4
  • 상위 글에 대한 답글
    페이스북페이스북
    jppoo3
    서울대 ㅡㅡ;; 이제 서울대는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다  07월21일
    Poll첨부 동영상첨부
  • 4
  • 상위 글에 대한 답글
    페이스북페이스북
    jppoo3
    서울대 ㅡㅡ;; 이제 서울대는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다  07월21일
    Poll첨부 동영상첨부
  • 4
  • 상위 글에 대한 답글
    페이스북페이스북
    jppoo3
    서울대 ㅡㅡ;; 이제 서울대는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다  07월21일 리플작성(0)
    리플작성
    추천(1) 비추천(0)
  • 상위 글에 대한 답글
    0)
    리플작성
    추천(1) 비추천(0)
  • 상위 글에 대한 답글
    리플작성
    추천(1) 비추천(0)
  • 상위 글에 대한 답글
    추천(1) 비추천(0)
  • 상위 글에 대한 답글페이스북페이스북
    성호철
    막장드라마나 깡패들이 판치는 영화엔 악마세를 부과하도록 하자. 그런 쓰레기 컨텐츠가 수출된다는건 정말 부끄러운 일이다. 욕설과 폭력 패륜이 난무하는 쓰레기 컨턴츠들은 한국산이든 미국산이든 세금을 부과하여 제어를 할 필요가 있다. 세상을 개선하려는 적극적 노력이 필요  07월19일
    리플작성(0)
    리플작성
    추천(12) 비추천(0)
  • 상위 글에 대한 답글
    페이스북페이스북
    후쿠시마펑
    세계적으로 욕먹기전에 작가.피디들 수준좀 높여라 별 그지같은 늠들...  07월19일
    리플작성(0)
    리플작성
    추천(22) 비추천(0)
  • 상위 글에 대한 답글
    페이스북페이스북
    anita eun
    이원호 작가처럼 풍부한 사회경험을 한 작가가 아닌, 책상앞에서 공상만 한 작가들의 재탕삼탕 소재 우려먹기에 매번 똑같은 줄거리. 연극계에서 구른 배우가 아닌 제작사 연줄로 들어가 광고모델 노리는 30대 미만 연기자들이 주연 꿰차는 사랑놀음. 대체 그놈의 한류는 뭐냐?  07월19일
    리플작성(0)
    리플작성
    추천(18) 비추천(0)
  • copyright
    1





    클릭클릭 많이 본 뉴스

    종합

    정치

    스포츠

    연예

    사회

    국제

    AdChoices
    AdChoices

    오늘의 dongA.com

    핀터레스트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donga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3가 139 | 등록번호 :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 2009년 1월16일 | 발행·편집인 : 김일흥
    모든 콘텐츠를 커뮤니티, 카페, 블로그 등에서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by 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