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재외동포정책이 불법체류자 양산
2012년11월17일 08시22분    조회:5843    추천:1    작성자: 김도균

한국교포정책이 불법체류자 양산
정부의 미흡한 교포정책이 불법체류자 양산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지위에 관한 법률’(재외동포법)을 보면, 정부는 재외동포가 대한민국 안에서 부당한 규제와 대우를 받지 않도록 필요한 지원을 해야 하며, 병역을 기피할 목적이나 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 외교관계 등에 있어 대한민국의 이익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재외동포체류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중국동포를 비롯한 CIS(독립국가연합)지역 동포 및 재일조선족에 대해 다른 지역의 동포들과는 달리 자유왕래를 제한함으로써 관련전문가로부터 ‘차별적 법적용’이란 비난을 받아왔다.

정부(법무부)의 이들 동포들에 대한 자유왕래 제한과 체류자격의 잦은 변경 및 강화로 말미암아 다수의 동포들은 브로커를 통해 편법과 탈법적인 방법으로 국내에 입국해 불법체류자 신세로 전락하거나 추방당하는 등 국내체류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했다.

그동안 한국정부는 많은 외국적 동포 불법체류자에 대한 합법화조치나 방문취업제, 재외동포기술교육연수제 등을 통해 단계적으로 이들 동포들의 국내체류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 방침을 세워 실행했으나,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가 2012년 1월 1일부터 입국 외국인에 대한 지문・얼굴정보확인제도를 시행함에 따라, 과거 위명여권 사용경력이 있는 동포들이 강제추방당하거나 출국 후 재입국이 거부되는 사태가 발생하는 등 위명여권 사용 전력으로 인한 동포들의 자유왕래 문제가 동포사회의 심각한 현안으로 떠올랐다.

한국정부는 지난 9월17일부터 11월 30일까지 75일 간 한시적으로『신원불일치자 자진신고센터』를 운영한다고 밝혔지만 현재까지 자신신고를 한 동포는 2천여 명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약 15만 명으로 추산되는 신원불일치자(위명여권 사용자)의 2%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자신신고를 통해 출국할 경우 정부의 설명과는 달리 현실적으로 재입국에 대한 보장이 없다는 것이 이들 동포들이 자신신고를 꺼리는 이유이다.
벌써부터 일각에서는 정부의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신원불일치자가 불법체류자 전락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지구촌동포연대 배덕호 대표는 “한국정부의 재외동포에 대한 출입국정책이 미흡하고, 차별적 정책으로 불법 탈법 환경을 조장한 측면이 있다더라도 위명여권을 사용한 것은 명백한 불법이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지 체벌을 받아야겠지만, 법무부가 시행하고 있는 지문・얼굴정보확인제도로 인한 신원불일치에 대한 현행조치는 동포들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오히려 범법자를 양산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재한조선족연합회 진복자 총무는 “과거 위명여권을 사용한 동포들이 위법을 한 것은 사실이나, 중국동포들이 범법자가 되려고 저지른 일이 아니라 한국정부의 중국동포정책 실패 때문이라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동포관련 시민단체들은 중국동포들을 비롯한 신원불일치자에 대한 한국정부의 대책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거나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자유왕래를 제한받고 있는 동포들에 대한 한국정부의 전향적 자세를 요구해 왔다.

차기 대통령선거가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대선후보들이 어떤 교포정책관련 공약을 내 놓을지 중국동포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세계한인신문 김도균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0
  •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지 벌써 한 달이 지났다. 새 정부 출범 이후 국민들의 이목은 단연 경제와 복지 분야에 쏠려있다. 새 정부도 민심을 알고 있다. 그래서 지하경제 활성화니 화폐개혁, 세제개혁이니 하는 설익은 정책들이 먼저 언론에 노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런 풍문들이라는 게 대선 과정에 여야 후보 진영이 토론의 ...
  • 2013-04-11
  • 이번 주초 국내 언론들이 김종훈 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의 워싱턴 포스트 기고문을 전한 기사들은 천편일률적이었다. 언론들은 기고문 중에서 '마녀사냥' '스파이' '매매춘'이라는 자극적인 단어들을 골라 김씨가 격정적으로 한국을 비난했다면서 기고문에 딸린 댓글을 빌어 김씨를 비판했...
  • 2013-04-08
  • 우리 사회(한국) 곳곳에는 한민족의 혈통과 문화를 가지면서 중국 국적을 갖고 있는 이른바 ‘조선족’ 분이 많다. 그들 대부분은 일제강점기 중국으로 망명 또는 이주한 우리 조상들의 후손이며 상당수는 독립운동가의 후손이다. 그런데 우리 사회에는 조선족을 배척하거나 멸시하는 분위기가 많다. 이들 대부분...
  • 2013-03-12
  • 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우리 민족은 남북 8천만에 이른다. 그리고 해외에 거주하는 재외동포 즉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700만으로 추산한다. 그 중 중국에 거주하는 한민족이 300만에 육박하여 전체 재외동포의 40%를 상회한다. 디아스포라(diaspora)라는 말은 그리스어다. 히브리어로 된 고대 구약성경의 “그대가 이 땅...
  • 2013-01-30
  •  제6차전국인구보편조사에 따르면 2010년 중국31개성, 자치구, 직할시와 현역군인을 포함한 인구중에 60세이상이 1.78억, 전체인구의 13.26%, 그중 65세이상 인구는 1.19억인 8.87%를 차지하였다. 이는 중국이 “노년형사회”에 정식으로 진입하였음을 의미한다.   중국의 노령화는 인구규모가 엄청나게 크고 ...
  • 2013-01-18
  • 거세지는 대선 수개표 요구, 촛불집회 잇따라 열려   2013년 01월 14일 (월) 11:24:16 허주렬 기자 joneson@hanmail.net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정권인수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일각에서는 18대 대선 개표 과정의 부정의혹을 제기하며 촛불집회가 잇따라 열리고 있다. 18대 대선 개표과정에 대한 문제를 제기...
  • 2013-01-14
  • 림원춘선생의 는 80년대 중국 최우수 단편소설로 유명하며 중국조선족 고중교과서에 입선되여 자라났거나 자라고 있는 조선족들에게 널리 읽히고 읽히고있는 명작이다. 당시의 인간세태를 보여주었고 모파쌍의 과 같이 중국조선족사회의 점과 면을 통해 그 사회를 보여준 훌륭한 작품이라고 할수 있다. 필자가 여기서...
  • 2012-12-04
  • 지금 한국에서는 18대 대통령선거가 연일 톱뉴스이다. 이번 대선에서도 재외국민 투표가 실시될 예정이다. 재외동포들의 오랜 주장과 노력에 의해 한국 헌정 사상 처음으로 2012년 4·11총선에 시행되었던 재외국민 실투표율은 2.5%라고 하는 실망스럽기 짝이 없는 수치로 나타났다. 그 결과를 둘러싸고 비관론과 낙...
  • 2012-11-30
  • 제18대 대통령후보들에게 드리는 중국동포 및 귀한동포 권익향상을 위한 건의   [귀한동포연합총회에서는 제18대 대통령후보들에게 드리는 건의서를 본지에 보내왔다. 이에 그 전문을 싣는다.  동북아신문 편집자 주] 귀한동포연합총회는 2006년8월6일에 서울에서 공식 창립하였고, 2007년 2월7일에 서울시청에 비...
  • 2012-11-29
  • 지난번 어느 문인들의 모임에서 이런 이야기를 듣고 몹시 놀랐다. 근거가 무엇인가를 물었더니, 현재 한국은 한나라당(새누리당)이 쥐고 흔들기에 그래도 한나라당 후보인 박근혜가 대통령이 되여야 현정치가 바뀌우지 않고 대내 대외적으로 안정할수 있다는 대답이다. 참으로 코막고 답답한 궤변이 아닐수 없다. 정말 그러...
  • 2012-11-19
  • 물 마실 때 우물 판 사람을 잊지 말라는 말이 있다. 중한 수교 20주년 중국조선족은 한국방문을 통해 거대한 부를 창조했다. 지난세기 90년대로부터 중국조선족은 친척방문, 위명려건, 연수와 로무 등을 통해서 힘들게 한국방문을 해오다가 2007년 무연고방문추업제가 도입되면서 비교적 자유로운 방문취업길이 열렸다. 김...
  • 2012-11-18
  • “조선족, 사과도 배도 될 수 있다” 이병화 前신라대 총장·국제관계학 중국 조선족자치주 마을 연길에 사과배가 자라고 있더군요. 금년에는 추석과 국경일이 겹쳐서 중국은 온 나라가 푸짐한 연휴를 즐겼지요. 이 기회에 저는 벼르고 있었던 여행길에 올랐지요. 1시간 40분을 날아서 옌지(延吉)를 찾아갔...
  • 2012-11-17
  • 한국교포정책이 불법체류자 양산 정부의 미흡한 교포정책이 불법체류자 양산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지위에 관한 법률’(재외동포법)을 보면, 정부는 재외동포가 대한민국 안에서 부당한 규제와 대우를 받지 않도록 필요한 지원을 해야 하며, 병역을 기피할 목적이나 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 외교관계...
  • 2012-11-17
  • 참으로 기분 좋은 소식이다. 재한조선족사회가 한국대선을 앞두고 《투표권을 행사하겠다》고 당당히 선언한것이다. 재한조선족들의 권익신장과 복지향상을 주목적으로 한 《재한중국동포유권자연맹》 발대식이 지난 11월 11일 오후 서울시 구로구민회관에서 성대히 개최됐다는 소식을 접하고 흥분으로 온 밤 뒤척거렸다. ...
  • 2012-11-17
  •   여시동  조선일보 상하이 특파원   지난 3일이 연변(延邊)조선족자치주 설립 60주년이라고 해서 연길(延吉)에 갔다가 근처의 용정(龍井)을 보고 싶었다. 마침 자치주 설립 기념일을 앞두고 용정 외곽에 있는 윤동주의 생가가 새로 단장을 했다는 소식도 있었다. 9년 전 비암벌이 훤히 내려다보이는 일송정...
  • 2012-09-08
  •  중국동포의 정체성   설동훈/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달 초부터 중국 헤이룽장, 지린, 랴오닝 성 등 중국 조선족 동포가 모여 사는 지역을 방문하여, 면접조사를 수행하는 등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현장에서 보고 느낀 생각을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자 한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2010년 조사하여 최근 발...
  • 2012-08-10
  •   한국 내 체류 외국인 136만명 가운데 절반인 67만명의 국적이 중국이고, 중국 국적의 70%인 46만여명이 중국동포, 즉 조선족이다.   이미 한국 국적을 회복하거나 이민한 이들도 7만5천여명에 이른다. 이들 대부분이 서울 영등포·구로·금천구, 경기 수원·안산 등 수도권에 모여 산다. 중국동포...
  • 2012-04-21
  • 한국 경기도 고양시에서 열리는 제92회 전국체육대회에 참가했다. 재중국선수단의 대회 참가 상황을 취재해서 보도하기 위해서 5년째 참가하고 있다. 이번 대회에도 가까운 아시아를 비롯해 멀리 미주, 유럽에서 동포들이 참가해서 한민족 스포츠 축제를 벌였다. 매년 1천여명의 동포선수들이 참가해서 벌이는 국제대회이지...
  • 2011-10-18
  • 오늘 나는 중국조선족 대모임 까페에 실린 '현대판노예 X씨의 사건해결촉구 서명운동' 을 보고 크나큰 충격을 받았다. 보는 순간 눈물부터 쏟아졌다. 어찌 그렇지 않겠는가! 내 부모, 내 형제, 내 친인척이 또 그 어디에서 이런 노예생활을 하고 있지 않는지?! (중국조선족대모임 카페자료 근거) 중국 동포(X씨, 58...
  • 2011-07-30
  •         왜 조선족이 다른 동포들과는 달리, 한국에 대해 대립각을 세우고 경우에 따라 조국을 중국으로 생각하는지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중국에는 조선족 이외에도 수많은 한국인이 살고 있다. 1993년 개방 직후 주재원, 유학생 그리고 그 가족들이 많이 와...
  • 2011-07-21
최신리플| 네티즌추천글
7월 TOP 칼럼 최다글
최다클릭
최다추천
최다리플
최다발표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인물 | 단체 | 블로그 | 쉼터 | 레터 | 포토 | 조글로뉴스 | 칼럼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고객센터
[조글로]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潮歌网) • 연변두만강국제정보항(延边图们江地区国际信息港) •아리랑주간(阿里郎周刊)
地址:吉林省延吉市光明街89号A座9001室 电子邮件: postmaster@zoglo.net 电话号码: 0433) 251-7898 251-8178
吉林省互联网出版备案登记证 [吉新出网备字61号] | 增值电信业务经营许可证 [吉B-2-4-20080054] [吉ICP备05008370号]
Copyright C 2005-201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