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com chosun.com

chosun.com chosun.com

조선닷컴을 설정
中文 · English · 日本語
구독신청

검색
통합검색
조선닷컴 메뉴
뉴스
오피니언
경제
스포츠
연예
라이프
클릭인사이드
클릭인사이드
클릭인사이드
클릭인사이드
입력 : 2013.07.03 03:03 | 수정 : 2013.07.04 17:32

	이한수 국제부 기자 사진
이한수 국제부 기자
일본이 이웃 나라의 신뢰를 얻을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이를 통해 일본은 '전범국' 오명(汚名)을 벗고 향후 동아시아 질서를 주도하는 도덕적 명분과 정치적 입지를 다질 수 있다.

가장 강력한 방법은 현재 일본 영토 일부를 전쟁 범죄 대가로 과거 피해를 본 국가에 할양하겠다고 선언하는 일이다. 말도 안 되는 일이라 할 테지만, 같은 패전 국가인 독일은 그렇게 했다. 독일은 패전 후 동부 오데르강과 나이센강을 기준으로 하는 오데르-나이센선(線) 동쪽 지역 영토 11만㎢를 피해국 폴란드에 떼주었다. 일본의 규슈(九州)·시코쿠(四國)·오키나와(沖繩)를 합친 것보다 2배 이상 큰 땅이다. 규슈 면적의 70%에 해당하는 알자스로렌 지방은 온전히 프랑스 영토가 됐다. 알자스로렌 지역 주민 대부분은 독일어계인 알자스어를 쓰지만 전후 지금까지 프랑스인으로 살고 있다.

이런 사실은 일본 정부도 잘 알고 있다. 일본 외무성 국제정보국장을 지낸 마고사키 우케루(孫崎亨) 전 보에이(防衛)대학 교수는 저서 '일본의 영토 분쟁'에서 "알자스로렌을 규슈로 바꿔서 말해보면, 일본 국적으로 살아온 규슈 사람들이 중국인이나 한국인으로 국적이 바뀌고 일본어 대신 중국어나 한국어를 쓰게 된 것"이라고 했다. 그는 "2차대전 후 영토 상당 부분을 상실한 독일은 새로운 진로(進路)를 찾았다"면서 "유럽연합이라는 조직의 중심이 되는 길을 선택했고, 오늘날 독일은 유럽연합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나라가 되었다. 그 영향력은 국토를 뛰어넘는 것"이라고 했다. 일본도 독일의 길을 따른다면 국토를 뛰어넘어 동아시아 공동체의 중심 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다.

굳이 땅을 떼주지 않아도 되는 방법이 있다. 매년 8월 15일 같은 상징적인 날에 피해국 국민에게 거듭 사죄하는 일이다. 독일은 지금도 그렇게 하고 있다. 만일 일본의 총리 이상 책임자가 일제 학살 현장인 한국의 제암리, 중국 난징(南京) 등을 찾아 용서를 구한다면 피해 국민의 '앙금'은 일시에 눈 녹듯 사라질 것이다. 빌리 브란트 독일 총리 한 사람이 1970년 폴란드 바르샤바를 찾아 나치 희생자 위령탑 앞에서 무릎 꿇고 사죄함으로써 나머지 독일 국민은 당당히 일어설 수 있었다.

더 쉬운 방법도 있다. 그저 가만히만 있어도 된다. "침략의 정의(定義)는 정해져 있지 않다"거나 "위안부 강제 동원 증거가 없다"거나 하는 망언(妄言)을 일삼지 않고,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靖國) 신사에 참배만 하지 않아도 피해국 국민은 일본과 미래를 이야기할 준비가 돼 있다.

안타깝지만 현 자민당 정권은 어느 것 하나 할 수 있는 자체 역량이 없어 보인다. 자민당은 곧 열리는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지난 25일 '자학사관(自虐史觀)에 사로잡힌 교과서를 개정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에게 제출했다. 정상적이라면 잘못을 인정하는 일을 '용기'라 부르지 '자학'이라 하지 않는다. 요즘 자민당이 하는 일을 보면 일본은 참으로 백년하청(百年河淸)이다.
  • Recommend
    Recommend
    5958
  • 13

100자평

2013.07.03 09:21:23신고 | 삭제
일본이 정상국가가 되는 방법에 빠진게 있다! 바로 우리가 힘을 기르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우리가 힘이 있을 때 일본은 정상국가정도가 아니라 아주 온순한 나라였다! 일본이 저런 행태를 보이는것은 근대 이후 중국이나 우리가 힘이 약해졌었기 때문이다! 일본에게 자꾸 강요하기 전에 우리 힘을 기르는데 주력하는게 더 바람직하다!
2013.07.04 03:06:11신고 | 삭제
옳은 말씀. 조선일보 논조, 조선일보 기자 답네요. 그런데 어떻게 하면 이 글이 일본인들 한테 읽힐 수가 있을까요? 이것도 좀 궁리 해 봐야 할 문제입니다.
2013.07.03 16:20:33신고 | 삭제
양심이 마비된 일본의 지도자에게 각성의 기회를 준 국제부 기자입니다
2013.07.03 15:16:14신고 | 삭제
전후에도 아세아의 맹주로 군림할 수 있다는 국력과 한국전의 병참기지 역할로 쌓은 부를 활용하여 세계적인 경제대국을 단 시간에 이룰 수 있었다는 것이 일본의, 일본국민의 오만함을 키우게 된 동기가 되었다는 것을 알아야된다. 그래서 일본을 조용하게 만드는 방법은 단 한가지 우리가 싸우지 말고 잘사는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된다.
2013.07.03 15:08:35신고 | 삭제
기자는 아는 것이 많아야 된다. 단지 줏어 들은 것 만으로 <안다>고 여기는 것은 옳은 생각이 아니다. 독일이 주변 국가에게 땅을 돌여 준 것은 단지 역사적으로 그 땅들이 자기들의 영토가 아니라는 이유 뿐 아니고 주위의 분위기가 무서웠기 때문이다. 그렇게 납작 엎드리지 않으면 국토를 지킬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본은 다르다.
2013.07.03 13:06:44신고 | 삭제
"죠용히 힜으면 중간은 간다."를 아베 적원이 빨리 터득해야할텐데.. 최근 이란 관련 칼럼을 게재했죠? 그 칼럼은 그냥 다른 곳에서 정보들만을 옮겨온 것 같은 느낌이었는데.. 이번 칼럼은 많이 발전했습니다.. [기자의시각]으로 충분한 자격이 있는 듯..

100자평 내보내기페이스북트위터미투데이다음요즘조선블로그
·
강천석 칼럼
송희영 칼럼
홍준호 칼럼
한삼희 칼럼
양상훈 칼럼
김창균 칼럼
최보식 칼럼
박두식 칼럼
김대중 칼럼
이덕일 사랑
이규태 코너
윤평중 칼럼
조용헌 살롱
최재천 자연과 문화
주경철 히스토리아
우정아 아트 스토리
정민 세설신어
김영나 서양미술산책
가슴으로 읽는…
정경원의 디자인노트
손철주의 옛그림 옛사람
허동현의 모던타임스
신수진의 사진 읽기
사설
태평로
데스크에서
경제포커스
동서남북
법과 사회
기자수첩
전문기자칼럼
특파원칼럼
기자의 시각
윤희영의 뉴스 잉글리시
시론·기고
朝鮮칼럼 The Column
만물상
일사일언
ESSAY
팔면봉
독자의견
발언대
아침편지
독자권익보호위원회
온라인 뉴스 구독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뉴스레터 RSS
  • 종합
  • 정치경제사회국제문화사설
  • 스포츠
  • 연예
  • 라이프
  • 페이스북
  • 100자평 인기기사
  • 뉴스
  • 인물
오늘의 뉴스브리핑 바로가기
wo die Insel barocker Kunst liegt?Wollten Sie nichtschon immer einmal wissen,
(i)
Google 광고
오늘의 뉴스 브리핑
국내 자동차 업체들, 사실상 정가(定價) 판매 사라져…
  • chosun.com
  • Copyright (c) chosun.com All rights reserved.
  • ☎ 02) 724-5114
  • 우리이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