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인기기사>
■ 국정원 수사 검사 “수사팀 내 이견은 양념이냐 프라이드냐 밖에 없었다” ■ 곽병찬 대기자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 훨씬 부유해졌는데 우리는 왜 행복하지 않을까 ■ “점심밥은 잘 먹고 다니시나요?” ■ [화보] 편집국에서 내쫓긴 한국일보 기자들 "우린 기사 쓰고 싶다" |
|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베트남 전쟁 성폭력 피해 돕는다 |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베트남 전쟁 성폭력 피해자들을 위해 지원기금을 내놓았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일본정부로부터 받을 법적 배상금인 ‘나비기금’에서 베트남인 은구옌 반 루엉(43), 은구옌 티 김(여·43)씨에게 각각 6천달러, 4천달러를 전했다고 17일 밝혔다.
정대협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87), 길원옥(84) 할머니의 뜻에 따라 베트남전 당시 파병한 한국군에게 성폭행을 당해 태어난 루엉씨와 김씨를 돕게 됐다고 밝혔다. 일용직 새우잡이로 일했던 루엉씨는 정대협의 지원으로 30년간 밭을 빌려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됐다. 김씨는 건물을 빌려 상점을 꾸릴 예정이다. 정대협 관계자는 “베트남 현지에 있는 한국군 성폭행 피해자들은 대부분 (정상적인) 결혼을 하지 못한 채 혼자 자식을 키우거나 2세들도 일용직 노동자나 거리 행상 등을 하며 불안정한 삶을 산다”고 말했다.
정대협은 지난해 3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일본정부로부터 법적 배상금을 받게 된다면 전쟁성폭력 피해자 돕기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아직 배상하지 않아 할머니들의 뜻에 동참하는 시민들의 기부금으로 나비기금을 마련했다. 가수 이효리씨가 첫 추진위원으로 500만원을 기부했고 단체 300여곳과 개인들이 참여해 7천만원 이상이 모였다. 정대협은 지난해 콩고 민주공화국 내전 강간피해자이면서 동시에 다른 피해자와 어린이들을 돕고 있는 레베카 마시카 카츄바씨를 첫 지원대상으로 선정해 매달 500달러 이상의 활동비를 보내고 있다.
정대협 관계자는 “할머니들의 꿈은 평화다. 그 뜻이 잘 전해질 수 있게 필요한 부분에 기금을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유빈 기자 yb@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