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뉴스 홈

다국어 사이트 바로가기
영어
중국어
일본어
아랍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패밀리 사이트 바로가기
뉴스Y
인포맥스
한민족센터
축제장터
이매진
콘텐츠판매

2013.04.23( 화 )

광고배너

기본 서비스

검색

  • 트위터
  • 페이스북
  • 구글
  • 미투데이
  • RSS


속보

예결위 "추경 세부사업 30% 부적합"
추경예산안에 포함된 세부사업 가운데 30%가량이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예산결산특위는 23일 추경예산안 검토보고
SK플래닛, '틱톡' 개발사 매드스마트 합병
틱톡플러스 10월 1일 종료…새로운 틱톡 출시 SK플래닛은 모바일 메신저 '틱톡'의 개발사인 매드스마트를 6월 1일자로 합병하고 기존

광고배너


뉴스 분야별 메뉴

일본전문가 "인터넷 자동번역이 한국 혐오 부추겨"기사 공유하기
트위터와페이스북
Recommend
32
0
종합5개SNS
기사보기옵션

일본전문가 "인터넷 자동번역이 한국 혐오 부추겨"

일본전문가
일본전문가 "혐한파, 인터넷 번역 글 보고 한국 상상"
(교도=연합뉴스) 장기간 재특회 등 일본의 이른바 '우익 네티즌'을 취재해온 일본인 저널리스트 야스다 고이치(安田浩一)씨는 일본의 우익 네티즌 중 상당수가 한국에 가보거나 한국인을 만나보지 못한 채 인터넷상에 떠도는 글과 사진을 보고 한국을 상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3.4.22 <<국제뉴스부 기사 참조>> chungwon@yna.co.kr
(도쿄=연합뉴스) 이충원 특파원 = "일본에는 한일 자동 번역 게시판에 뜬 감정적인 글과 사진을 보고 '한국인은 일본인을 죽이고 싶어한다'고 상상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최근 재특회 등 일본의 이른바 '우익 네티즌'이 도쿄·오사카 코리아타운에서 "한국인을 죽여라"라는 등 한국 혐오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벌여 물의를 빚고 있다. 이들은 왜 이처럼 극단적인 주장을 하는 것일까.
장기간 이들을 취재해 '인터넷과 애국'이라는 책을 펴낸 야스다 고이치(安田浩一)씨는 일본의 우익 네티즌 중 상당수가 한국에 가보거나 한국인을 만나보지 못한 채 인터넷상에 떠도는 글과 사진을 보고 한국을 상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야스다씨는 19일 도쿄에서 만난 기자에게 인터넷에 떠도는 한 장의 사진을 보여줬다. 한국의 한 단체 회원이 'Kill Jap'(일본인을 죽여라)이라고 쓴 피켓을 들고 시위하는 장면을 담은 사진이다.
"한국에서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은 일부에 불과하지만 인터넷에서 이걸 본 일본 네티즌들은 '이게 한국 여론인가 보다'라고 진지하게 받아들입니다. 일부는 '그럼 우리도 한국인을 죽이자라고 외치자'라고 생각하는 거죠"
'2채널' 등 일본의 일부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국 정부가 어린이들에게 이런 내용의 반일 교육을 한다고 믿는 이들이 퍼지는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다.
이들에게 상상의 날개를 달아준 도구가 한국 포털사이트가 2003년께에 제공한 한일 자동번역 게시판이라고 한다.
야스다씨는 자신의 저서 '인터넷과 애국'에서 "그들(우익 네티즌)이 이용한 것은 한국의 인터넷 기업이 운영하는 한일번역게시판이었다"며 "원래는 번역 기능을 이용해서 양국의 교류를 심화하는 것이 목적인 게시판이었지만, 점점 한일 네티즌이 충돌하는 장으로 변해갔다"고 적었다. 재특회 회장인 사쿠라이 마코토도 'Doronpa'라는 아이디를 쓰는 이 게시판의 단골이었다고 한다.
상대국의 고민이나 문화를 이해하지 못한 네티즌들의 감정 배설에 가까운 글들이 자동 번역되면서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을 낳은 셈이다.
야스다씨는 2002년 한일월드컵 대회가 중요한 분기점이 됐다고 설명했다. 그전까지는 한국을 경쟁 상대로 여기지 않던 이들이 월드컵 대회 공동 개최를 계기로 한국에 관심을 갖게 됐고, 여기서 한국인들의 민족주의가 분출하는 모습을 보고 "이러다간 언젠가 우리(일본)가 한국에 당할지도 모른다"라는 위기감을 느끼게 됐다는 것이다.
"한국인은 흔히 '일본인이 자신들을 깔보고 차별한다'고 생각하죠. 물론 나이 든 일본인 중에는 아직도 그런 이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젊은이 중에는 오히려 '한국이 언젠가 일본을 점령할지 모른다'고 진지하게 걱정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욕구 불만에 찬 이들은 '알기 쉬운 적'을 찾아냄으로써 일본이 침체한 원인을 설명하고 싶어합니다. 재특회 회원들이 재일한국·조선인이 뭔가 특권을 누리고 있고, 심지어는 이들이 일본을 지배한다고 상상하는 것은 이 때문이죠"
2000년대 들어 일본에서 빈부격차가 커지면서 일본인의 장래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냉전 시대가 끝난 탓에 한국과 일본이 더는 '반공'이라는 구호만으로 단결하기 어려워졌다는 점도 양측의 감정 대립을 부채질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일본 내에서 한국 혐오 시위를 벌이는 이들은 소수지만, 보통 사람 중에도 이들의 주장에 공감하는 이들이 생기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다만 야스다 씨는 아직 희망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일본은 유럽과 달리 외국인에게 실제로 일자리를 뺏긴 이들이 적고, 일본인 대다수는 여전히 재특회 등의 극단적인 주장을 비판적으로 보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저도 일본인이지만 '한국인은 모두 일본인을 죽이고 싶어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는 제게 한국인 친구가 있고, 인터넷 이외의 세계도 알고 있기 때문이죠"
인터넷 덕분에 국경이 무너지는 시대일수록 자동 번역한 글만 보고 판단할 게 아니라 상대의 고민과 문화, 서로의 차이점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게 일본 전문가의 결론인 듯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4/22 06:00 송고

소셜댓글 라이브리 영역. SNS 계정으로 로그인해 댓글을 작성하고 SNS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소셜로그인
    .
  • .
.
.
  • 로그인 전 프로필 이미지
  • .
.
  • 소셜계정으로 작성하세요
    • 0/250
    • .
  • .
.
.
.
(i)
Google 광고

그 외 기사 모음


광고

오늘의 주요기사

오늘의 주요기사
종합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