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is webpage capture

This page saved from

17 Feb 2013 04:37:53

text image more from news.chosun.com other snapshots of this page report abuse
 
 

chosun.com chosun.com

chosun.com chosun.com

조선닷컴을 설정
中文 · English · 日本語
구독신청

검색
통합검색
조선닷컴 메뉴
뉴스
오피니언
경제
스포츠
연예
라이프
TV조선
TV조선
TV조선
TV조선
입력 : 2013.02.08 03:02

648만명 두 차례 조사 결과
과거엔 결손가정 반영 안 돼… 참여율, 작년 97%로 크게 올라
징후 보이는 학생만 105만명… 학업 스트레스 증가도 원인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 648만명 중 105만명(16.3%)은 우울증 징후를 보이거나 폭력적인 성향을 보이는 '관심군(群)'이고, 그중 22만명(4.5%)은 바로 전문가의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하는'주의군(群)'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지난해 전국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학생 정서·행동 특성 검사'를 벌인 결과다.

이 조사에서 '관심군' 학생은 "남들이 보기에 나는 매사에 의욕이 없어 보일 것", "나는 우울한 기분으로 생활하는 일이 많다" 같은 응답을 여러 번 반복한 아이들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이 중엔 정말 아픈 아이도 있지만, 일시적으로 그런 기분에 빠진 아이도 섞여 있다"고 했다. 이런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의 우울감과 폭력성이 일시적인지 아닌지 주의 깊게 관찰해 교사와 상담한 다음, 필요에 따라 전문가를 찾아가보는 것이 좋다.

'관심군' 아이들만을 대상으로 2차 검사를 했을 때 또다시 일관되게 부정적인 응답을 한 아이들이 '주의군'이다. "나에게 제대로 되어가는 일이란 없다" "나는 남을 방해하고 간섭하는 존재다" 같은 생각이 마음속에서 가시지 않는 아이들이다. "자살하고 싶다"고 대답한 중·고교생도 상당수였다. 이런 자녀를 둔 부모는 당장 전문가를 찾아가 정확한 진단을 받고, 필요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문제는 관심군과 주의군 모두 계속 늘어나는 추세라는 점이다. 관심군 학생은 2010년 12.8%에서 지난해 16.3%로 뛰었다. 주의군 역시 조사 첫해 2.6%에서 지난해 4.5%가 됐다. 주의군 학생 비율은 중학생(7.1%)이 초등학생(2.4%), 고등학생(5.4%)보다 훨씬 높았다.

이처럼 학생들의 정신건강이 계속 악화되는 이유가 뭘까. 전문가들은 "과거 조사에서는 조손가정 등 결손가정 아이들이 대거 빠졌는데, 지난해부터 이런 아이들이 거의 모두 들어왔다"고 했다. 빙산(氷山)의 하단처럼 그동안 물에 잠겨 보이지 않던 부분이 겉으로 드러났다는 얘기다. 실제로 이 조사 참여율은 2010~2011년 70%대에 머물다 지난해 97%에 달했다.

또 다른 원인은 갈수록 학업 스트레스가 높아지는 데 있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동시에 결손가정이 늘고 사회구조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대도시건 시골이건, 공격적인 게임이 퍼지고 있다. 그 결과 갈수록 이른 나이에 격렬한 정신적 위기를 겪는 아이들이 늘어나는 것이다. 고윤주 루돌프어린이사회성발달연구소장은 "과거에는 중학생, 고등학생이 하던 비행을 요즘은 초등학생도 스스럼없이 저지른다"고 했다. 일찍 우울증·비행에 빠지면 자라면서 그만큼 더 위험해진다.

도시는 각박하고 시골은 순박하다는 통념도 깨졌다. 관심군이 가장 많은 지역은 전북(20.2%), 충북(19.8%), 전남(19.4%) 순이었다. 주의군의 경우, 충남(7.0%), 제주(6.5%), 강원(6.1%) 순으로 나왔다. 천근아 연세대 의대 교수(소아정신과)는 "서울 엄마 중에는 9개월 된 아이가 어쩌다 눈을 안 마주친다고 병원에 달려오는 사람도 있는데, 지방은 아직도 병이 곪아 터진 뒤에야 찾아오는 분들이 많다"고 했다.

 

100자평

2013.02.08 13:40:32신고 | 삭제
대한민국을 먹여살릴 22만명의 학생들이 즉시 전문가의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면, 보고서가 지적하는 소위 "전문가'란 과연 누구를 지칭하는 것인가가 적시되어있지 못하고 그들에게 치료를 받으면 과연 "완치"가 되어 건강을 되찾게 될 것인가도 명시되지 못하고 있다. 무식한 독자가 할 일도 제시되지 않고 있다. "강건종의명현반응정리"
2013.02.08 07:23:54신고 | 삭제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 15년 간 반역 종북추종자들이 뿌린 시앗이 이제 서서히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지. 지금이라도 다 잡지 않는다면 나라 망하는 건 순식간이고....

100자평 내보내기페이스북트위터미투데이다음요즘조선블로그
·
가장 많이 본 뉴스
  • 인기뉴스
  • 고교가이드
  • 대입전략

Forbidden

You don't have permission to access /rank/news_ranking.html on this server.

Additionally, a 403 Forbidden error was encountered while trying to use an ErrorDocument to handle the request.

온라인 뉴스 구독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뉴스레터 RSS
조선닷컴 MY뉴스로 설정하러가기
  • 정치경제사회국제문화사설
  • 종합
  • 스포츠
  • 연예
  • 라이프
  • 페이스북
  • 100자평 인기기사
  • 뉴스
  • 인물
'뉴스ON' 앱을 만나보세요.
친구들과 기사를 쉽게 공유하고 스크랩 할 수는 없을까? '조선닷컴 뉴스ON'
지금 만나보세요!
오늘의 뉴스브리핑 바로가기
오늘의 뉴스 브리핑
30代 이상 성인 1000만명, 고혈압·당뇨병 안고 산다
  • chosun.com
  • Copyright (c) chosun.com All rights reserved.
  • ☎ 02) 724-5114
  • 우리이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