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가 우리나라땅이 아닌 이유 13가지
Category :
【 독도 】
Tag :
1. 예전에 정광태라는 개그맨출신 가수가 "독도는 우리땅" 이라는 노래를 발표했는데 한국 정부는 이를 금지곡으로 지정했습니다. 그리고 무슨 이유인지 몰라도 아직도 정광태씨는 일본 비자를 발급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금지곡에서 풀렸지만 일본이 항의를 하면 가끔씩 방송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습니다.)
2. 2000년 새해맞이 해돋이 행사는각 나라의 가장 동쪽 끝 영토에서 실시되었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가장 동쪽 끝 영토인 독도를 팽개치고 울산광역시의 간절곶 등대에서 새천년 해돋이 채화식을 거행했습니다. (실제로 방송국은 독도에서 행사를 거행하려 했으나 그 뜻을 이룰 수 없었다고 합니다)
3. 대한민국의 영토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든지 자유롭게 방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독도는 일반 한국인이 접근할 수 없는 섬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일반인이 독도에 들어가려면 외교통상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요청시 대부분 반려되고 있습니다. (천연기념물 보호 때문이라는데 언제부터 외교통상부가 천연기념물을 관리했나?!)
4. 일본은 독도를 일본 영토와 가장 가까운 시마네현 은기군 오개촌에 편입시켜 놓았으며 독도에 일본인 호적까지 등록시켜 놓았습니다. 게다가 일본 시마네현 청사와 경찰청 정문앞에는 '죽도는 일본 고유 영토입니다'라고 적힌 대형 입간판과 시마네현 곳곳에는 '죽도는 일본 땅'이라는 현수막까지 설치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어느 청사에도 독도가 한국땅이라는 입간판이나 현수막은 없습니다.
5. 일본 시마네현 관청은 독도의 공시지가까지 마련해 놓았으나, 울릉군청에는 독도의 공시지가 따위는 없습니다. --> 지금은 공시지가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6. 1999년 말 경북도지사는 독도의 해경을 위로 방문하려고 정부에 출장신청을 했으나 고위층의 반대로 출장은 무산되었습니다. (일반인은 물론 독도를 관할하는 책임자인 경북도지사도 지맘대로 못갑니다.)
7. 일본은 1996년 신어업협정을 발효시키며 배타적 경제 수역 내에 독도를 포함시켰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애걸복걸로 독도는 중간수역 으로 정해졌습니다. 하지만 한국 어선이 조업시 독도에 정박하는 것은 발포를 무릅써야 합니다. (독도에 있는 경찰은 일본 경찰인가?)
8. 1996년 한 홍콩의 경제주간지가 아시아 기업인들 상대로 "독도영유권"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말레이시아 기업인들은 66.7%, 호주 58.8%,인도55.6% 필리핀의 기업인들은 54.5%가 독도를 "일본의 영토"로 인지하고 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만 독도를 한국땅으로 알고 있는 것인가?)
9. 김종필 전 자민련총재가 62년 한,일 국교정상화교섭 당시 독도 폭파를 일본측에 제안했던 사실이 확인됐다고 요미우리 신문이 워싱턴발 지지 통신을 인용,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최근 해금된 미 외교문서에 한국측 수석대표였던 김종필 당시 중앙정보부장이 독도 폭파를 제안했으나 일본측이 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은 자신들의 영토가 아니므로 쉽게 폭파하자는 얘기를 할 수 있지만 일본은 자신들의 영토를 폭파할 수 없어서 거부했다는 식으로 해석함.)
10. 정부는 유엔해양법협약 관련규정에 따라 현재 독도를 EEZ를 가지지 않는 [암석]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98. 11. 8,국회대정부 질의시 국무총리 답변) 하지만 일본은 독도가 자신들의 영토이지만 한국이 불법 점유하고 있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0.23평방 km 짜리 암석도있나? 암석치고는 꽤 크군.)
11. 남지나해의 [남사군도]는 필리핀, 중국, 베트남, 브루나이, 대만 등 여러나라 간의 분쟁이 일고 있는 지역입니다. 몇 년 전 중국 해군이 그 중의 한 산호초에 가건물을 지었습니다. 그 산호초는 필리핀이 자기 영토라고 주장하는 곳입니다. 전임 라모스 정권 때는 별 소용도 없는 외교적 항의로만 일관했습니다. 그러니 중국은 끄떡도 할 리 없었습니다. 그러나 에스트라다가 새로운 대통령이 된 후에 필리핀 해병대를 보내서 중국이 지은 가건물을 통쾌하게도 폭파해 버렸습니다. 중국과의 전쟁을 각오한 행동이었습니다. 그러자 지레 찔린 중국은 필리핀에 쳐 들어가기는 커녕, 여태 자기 영토, 영해라고 주장하던 자세를 바꾸어 공동관리라는 선까지 후퇴했습니다. (일본이 언젠가 독도 수비대 숙소를 폭파하러 올 것입니다.)
12. 현재 독도에는 독도 수비대라는 명칭의 전투경찰이 있습니다. 국방은 군인이 지키고 치안을 담당하는게 경찰입니다. 독도는 당연히 전경대신 해병대가 지키고 있어야 합니다. 일본은 독도주변 영해와 영공에 일본의 군함과 선박, 항공기를 자주 출몰시키고 있습니다. 한국은 독도를 경찰이 담당하지만 일본은 자위대라는 군대가 담당하고 있는 것입니다. (거 봐~ 일본이 곧 폭파하러 온다니까!)
13. 동해바다 명칭이 일제시대 이전에는 "Merde coree" 등 "조선해"의 영문명칭으로 널리 알려 지다가 일제시대 이후 전세계의 대부분의 지도에선 "Sea of Japan"이라고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 정부는 한국해라고 항의하기는커녕, 맑고 푸른바다라는 뜻의 청해(淸海)로 표기하자고 하고 있지만 일본은 이를 거절하고 있습니다. (지도에 일본해에 떠있는 섬을 한국 영토라고 한다면 전세계 누가 믿어 주겠는가?)
출처 : 독도가 일본땅인 이유 13가지
2. 2000년 새해맞이 해돋이 행사는각 나라의 가장 동쪽 끝 영토에서 실시되었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가장 동쪽 끝 영토인 독도를 팽개치고 울산광역시의 간절곶 등대에서 새천년 해돋이 채화식을 거행했습니다. (실제로 방송국은 독도에서 행사를 거행하려 했으나 그 뜻을 이룰 수 없었다고 합니다)
3. 대한민국의 영토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든지 자유롭게 방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독도는 일반 한국인이 접근할 수 없는 섬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일반인이 독도에 들어가려면 외교통상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요청시 대부분 반려되고 있습니다. (천연기념물 보호 때문이라는데 언제부터 외교통상부가 천연기념물을 관리했나?!)
4. 일본은 독도를 일본 영토와 가장 가까운 시마네현 은기군 오개촌에 편입시켜 놓았으며 독도에 일본인 호적까지 등록시켜 놓았습니다. 게다가 일본 시마네현 청사와 경찰청 정문앞에는 '죽도는 일본 고유 영토입니다'라고 적힌 대형 입간판과 시마네현 곳곳에는 '죽도는 일본 땅'이라는 현수막까지 설치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어느 청사에도 독도가 한국땅이라는 입간판이나 현수막은 없습니다.
5. 일본 시마네현 관청은 독도의 공시지가까지 마련해 놓았으나, 울릉군청에는 독도의 공시지가 따위는 없습니다. --> 지금은 공시지가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6. 1999년 말 경북도지사는 독도의 해경을 위로 방문하려고 정부에 출장신청을 했으나 고위층의 반대로 출장은 무산되었습니다. (일반인은 물론 독도를 관할하는 책임자인 경북도지사도 지맘대로 못갑니다.)
7. 일본은 1996년 신어업협정을 발효시키며 배타적 경제 수역 내에 독도를 포함시켰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애걸복걸로 독도는 중간수역 으로 정해졌습니다. 하지만 한국 어선이 조업시 독도에 정박하는 것은 발포를 무릅써야 합니다. (독도에 있는 경찰은 일본 경찰인가?)
8. 1996년 한 홍콩의 경제주간지가 아시아 기업인들 상대로 "독도영유권"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말레이시아 기업인들은 66.7%, 호주 58.8%,인도55.6% 필리핀의 기업인들은 54.5%가 독도를 "일본의 영토"로 인지하고 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만 독도를 한국땅으로 알고 있는 것인가?)
9. 김종필 전 자민련총재가 62년 한,일 국교정상화교섭 당시 독도 폭파를 일본측에 제안했던 사실이 확인됐다고 요미우리 신문이 워싱턴발 지지 통신을 인용,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최근 해금된 미 외교문서에 한국측 수석대표였던 김종필 당시 중앙정보부장이 독도 폭파를 제안했으나 일본측이 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은 자신들의 영토가 아니므로 쉽게 폭파하자는 얘기를 할 수 있지만 일본은 자신들의 영토를 폭파할 수 없어서 거부했다는 식으로 해석함.)
10. 정부는 유엔해양법협약 관련규정에 따라 현재 독도를 EEZ를 가지지 않는 [암석]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98. 11. 8,국회대정부 질의시 국무총리 답변) 하지만 일본은 독도가 자신들의 영토이지만 한국이 불법 점유하고 있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0.23평방 km 짜리 암석도있나? 암석치고는 꽤 크군.)
11. 남지나해의 [남사군도]는 필리핀, 중국, 베트남, 브루나이, 대만 등 여러나라 간의 분쟁이 일고 있는 지역입니다. 몇 년 전 중국 해군이 그 중의 한 산호초에 가건물을 지었습니다. 그 산호초는 필리핀이 자기 영토라고 주장하는 곳입니다. 전임 라모스 정권 때는 별 소용도 없는 외교적 항의로만 일관했습니다. 그러니 중국은 끄떡도 할 리 없었습니다. 그러나 에스트라다가 새로운 대통령이 된 후에 필리핀 해병대를 보내서 중국이 지은 가건물을 통쾌하게도 폭파해 버렸습니다. 중국과의 전쟁을 각오한 행동이었습니다. 그러자 지레 찔린 중국은 필리핀에 쳐 들어가기는 커녕, 여태 자기 영토, 영해라고 주장하던 자세를 바꾸어 공동관리라는 선까지 후퇴했습니다. (일본이 언젠가 독도 수비대 숙소를 폭파하러 올 것입니다.)
12. 현재 독도에는 독도 수비대라는 명칭의 전투경찰이 있습니다. 국방은 군인이 지키고 치안을 담당하는게 경찰입니다. 독도는 당연히 전경대신 해병대가 지키고 있어야 합니다. 일본은 독도주변 영해와 영공에 일본의 군함과 선박, 항공기를 자주 출몰시키고 있습니다. 한국은 독도를 경찰이 담당하지만 일본은 자위대라는 군대가 담당하고 있는 것입니다. (거 봐~ 일본이 곧 폭파하러 온다니까!)
13. 동해바다 명칭이 일제시대 이전에는 "Merde coree" 등 "조선해"의 영문명칭으로 널리 알려 지다가 일제시대 이후 전세계의 대부분의 지도에선 "Sea of Japan"이라고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 정부는 한국해라고 항의하기는커녕, 맑고 푸른바다라는 뜻의 청해(淸海)로 표기하자고 하고 있지만 일본은 이를 거절하고 있습니다. (지도에 일본해에 떠있는 섬을 한국 영토라고 한다면 전세계 누가 믿어 주겠는가?)
출처 : 독도가 일본땅인 이유 13가지
외국인들 “한국인 반일 감정 지나치다” 반일 세뇌교육을 받은 어린 아이들의 정신세계.
해외 누리꾼들 사이에서 한국인들의 반일감정이 지나치다는 비판이 제기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고 있다. 한국의 반응은 유독 과하다는 것이다. 한국의 반일감정은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이 이와 관련된 사진들을 블로그에 포스팅하면서 외국에 알려졌다. 이들이 옮긴 사진은 서울의 한 지하철역에 전시된 한국 초등학교 학생들의 반일 관련 그림들.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그린 반일 그림들을 외국인들이 촬영해 해외에 전한 것이다.
이 그림을 본 외국인들의 반응은 한마디로 "너무 지나치다. 너무 많이 나갔다"로 압축된다. 무엇보다 외국인들은 공교육 수업에서 어린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일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 놀라움을 표시하고 있다. 독일에 유학 중인 폴란드인 빅토리아(26)는 "초등학생들은 대부분 선생님의 말을 듣고 판단력을 키워 나가는데 학교에서 이렇게까지 교육을 하는 것은 과한 것 같다"며 "한 나라에 대한 평가는 어린이가 자라면서 스스로 해야 할 일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독일 만하임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는 막스(25)도 그림을 보며 "저런 교육이 어린 학생들에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너무 심각해 보인다"고 말했다.
온라인상에서는 한국 교육에 대한 비판이 더욱 직설적이다. 현재 한국에 살고 있는 한 독일인은 자신의 블로그에 '한국 초등학교 미술시간의 반일운동'이라는 제목의 글을 남겨 한국 공교육을 꼬집었다. 그는 이 글에서 "한국 공교육에서 벌어지는 일은 미련하고, 무책임하고, 지나친 행동"이라고 힐난하는 한편, "한국의 교육시스템에는 분명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외국인들을 가장 경악케 하는 것은 한국 어린이들의 그림에 드러난 폭력성. 일본에 핵폭탄을 투하하는 그림, 피 묻은 칼로 일본을 위협하는 그림, 일본 지도를 한국인이 발로 누르고 있는 그림, 일본이 불타고 있는 그림 등이 그것이다. 이를 본 일부 해외 누리꾼들은 공교육현장에서 그토록 폭력적인 묘사가 허용되고 있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누리꾼 'Gradius-09'는 "이런 교육을 하는 선생님들의 행동은 정말 추하다"며 "대학생도 아닌 어린 학생들에게 이런 것들을 가르칠 수 있는가"라고 비난했다. 심지어 한국 초등학생들에게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는 누리꾼도 있다. 'lila'라는 누리꾼은 "이런 그림을 보라고 전시해 놓은 학생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한국 초등학생들의 그림은 유럽 현지 대학생들 사이에서도 퍼지고 있다. '코믹한 나라의 그림 모음집'이라는 파일에 담겨 이메일을 통해 유포되고 있는 것. 심지어는 파티장 분위기를 띄우기 위한 장식 그림으로 사용되고도 있다. 놀림거리로 전락한 것이다. 상황이 이러하자 한국에 대해 '실망했다'는 외국인도 늘고 있다. 한 파티에서 이 그림을 봤다는 독일인 토슨(25)은 "한국이 저 정도밖에 안되는 나라인가"라며 실망을 표했다. 한 독일인 역시 자신의 블로그에서 "한국에 대해 정말 실망이다"며 "독일에서 저런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정말 끔찍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외국인들 "한국인 반일 감정 지나치다"
일본에 핵폭탄을 투하하는 그림

피 묻은 칼로 일본을 위협하는 그림

일본 지도를 한국인이 발로 누르고 있는 그림

일본이 불타고 있는 그림



































이 그림을 본 외국인들의 반응은 한마디로 "너무 지나치다. 너무 많이 나갔다"로 압축된다. 무엇보다 외국인들은 공교육 수업에서 어린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일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 놀라움을 표시하고 있다. 독일에 유학 중인 폴란드인 빅토리아(26)는 "초등학생들은 대부분 선생님의 말을 듣고 판단력을 키워 나가는데 학교에서 이렇게까지 교육을 하는 것은 과한 것 같다"며 "한 나라에 대한 평가는 어린이가 자라면서 스스로 해야 할 일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독일 만하임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는 막스(25)도 그림을 보며 "저런 교육이 어린 학생들에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너무 심각해 보인다"고 말했다.
온라인상에서는 한국 교육에 대한 비판이 더욱 직설적이다. 현재 한국에 살고 있는 한 독일인은 자신의 블로그에 '한국 초등학교 미술시간의 반일운동'이라는 제목의 글을 남겨 한국 공교육을 꼬집었다. 그는 이 글에서 "한국 공교육에서 벌어지는 일은 미련하고, 무책임하고, 지나친 행동"이라고 힐난하는 한편, "한국의 교육시스템에는 분명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외국인들을 가장 경악케 하는 것은 한국 어린이들의 그림에 드러난 폭력성. 일본에 핵폭탄을 투하하는 그림, 피 묻은 칼로 일본을 위협하는 그림, 일본 지도를 한국인이 발로 누르고 있는 그림, 일본이 불타고 있는 그림 등이 그것이다. 이를 본 일부 해외 누리꾼들은 공교육현장에서 그토록 폭력적인 묘사가 허용되고 있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누리꾼 'Gradius-09'는 "이런 교육을 하는 선생님들의 행동은 정말 추하다"며 "대학생도 아닌 어린 학생들에게 이런 것들을 가르칠 수 있는가"라고 비난했다. 심지어 한국 초등학생들에게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는 누리꾼도 있다. 'lila'라는 누리꾼은 "이런 그림을 보라고 전시해 놓은 학생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한국 초등학생들의 그림은 유럽 현지 대학생들 사이에서도 퍼지고 있다. '코믹한 나라의 그림 모음집'이라는 파일에 담겨 이메일을 통해 유포되고 있는 것. 심지어는 파티장 분위기를 띄우기 위한 장식 그림으로 사용되고도 있다. 놀림거리로 전락한 것이다. 상황이 이러하자 한국에 대해 '실망했다'는 외국인도 늘고 있다. 한 파티에서 이 그림을 봤다는 독일인 토슨(25)은 "한국이 저 정도밖에 안되는 나라인가"라며 실망을 표했다. 한 독일인 역시 자신의 블로그에서 "한국에 대해 정말 실망이다"며 "독일에서 저런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정말 끔찍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외국인들 "한국인 반일 감정 지나치다"
일본에 핵폭탄을 투하하는 그림
피 묻은 칼로 일본을 위협하는 그림
일본 지도를 한국인이 발로 누르고 있는 그림
일본이 불타고 있는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