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
최종편집 : 2011.8.6 토 00:12
[천지시론] 南과 北이 하나 될 때 ‘독도’도 쉴 수 있다 
2011년 08월 04일 (목) 20:57:00   이상면 편집인 lemiana@newscj.com
> 뉴스 > 오피니언 > 천지시론
       

 

   
외로운 섬 하나 독도! 얼마나 아플까 얼마나 서러울까. 이젠 정말 그 핍박과 설움에서 해방시켜 주고 싶다. 독도여 조금만 더 참자!

왜 진작 그렇게 단호한 조치를 내리지 못했을까. 이번에 3명의 일본 자민당 의원이 독도 만행을 위해 입국하려다 정부의 단호한 조치에 발길을 돌리게 된 사태를 일컫는 푸념 섞인 원망이다. 물론 이슈화를 노린 그들의 계산된 꾀라는 사실도 아는 바다.

호들갑이 아닌 의연함과 대범함이 오히려 그들에게 위협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 것은 유독 필자만의 생각일까.

독도 문제에 관해서만큼은 과거 정권들의 막연하고 우유부단하기만 했던 대응, 늘 국민의 마음을 답답하게만 하던 대처에서 갑작스레 급진전된 반응은 외려 국민들로 하여금 당혹스럽고 어색하게만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그 조치는 외려 국민들에게 ‘그들의 올무에 꼼짝없이 걸려들었구나’ 하는 국민들의 자존심에 상처를 남긴 우스꽝스러운 형국으로 남고 말았다.

그동안 많은 학자와 전문가들의 조언에서 수없이 언급된 것처럼 왜(倭, Japan)는 생각과 의식, 가치관에서 비롯된 그들만의 ‘영토문화’가 있다. 일본열도 남서부에 이리저리 흩어져 있던 고대부족국가가 바로 오늘의 일본임을 알아야 한다. 늘 대륙 한반도에 대한 열등의식과 자연으로부터 오는 공포, 즉 지진과 해일 태풍 등 천연적 환경이 오늘날 일본인들의 영토문화를 형성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고찰할 수 있어야 한다.

돌 하나, 바위 하나, 섬 하나에 대한 인식 자체가 우리와 너무나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우리는 단순히 ‘우리 것이다’라는 영토적 개념이지만, 왜에게 돌과 바위와 섬은 ‘생존과 생명’에 직결돼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끊임없이 교묘하고 집요하게 다케시마로 주장하는 데는 바로 이러한 왜(倭)의 사연이 있음을 알고, 원론적인 데서부터 시작해 때론 논리적으로, 때론 의연함으로, 때론 힘의 논리로 대응 전략을 적절히 구사해 나갈 때 비로소 왜(倭)보다 한 수 위의 처세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국제문제로 비화될까 봐’라는 우유부단하고 옹졸하고 저급한 대응이 그야말로 국제분쟁지역을 만들고 말았다는 통렬한 반성을 이 기회에 정부와 및 국민들에게도 주문해 본다.

작금의 독도 만행은 그동안 수없는 침략행위에 이은 오늘날의 대한민국 영토를 침탈하려는 엄연한 침략행위임을 명심해야 한다.

그렇다면 전쟁도 불사하겠다는 결연한 각오가 이 나라 정부와 국민들에겐 있어야 한다. 그 결연한 의지를 왜(倭)에게 확실하게 보여주지 못한 것이 오늘의 독도 문제를 여기까지 오게 한 결정적 요인이란 생각을 반드시 해야 한다.

또 전쟁을 통해서 반드시 지키고 이겨야 한다. 독도를 지키고 이길 수 있는 방법은 정공법(正攻法)의 독도 지키기, 즉 전쟁이 있는가 하면 병법(兵法)에 소개되어 있듯이 ‘성동격서(聲東擊西)’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대마도가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주장하고, 주장하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기필코 찾아야 한다. 울릉도 제주도보다도 가까운 대마도가 왜 일본 땅이 돼야 하며, 우리 한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지금도 고스란히 살아 숨 쉬는 그곳 대마도가 왜 일본 땅이 돼야 하냐는 ‘대마도 되찾기 운동’이 활화산처럼 일어나는 게 바로 또 하나의 전쟁 즉, 성동격서인 줄을 깨달았으면 한다.

또 하나의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미 이 방법은 방법을 넘어 필연적인 관계에서 이미 진행되고 있다. 북측의 왜(倭)를 향한 독도 관련 발언, 남한과 일치된 주장을 적절한 시기에 왜(倭)를 향해 일성(一聲)을 가한 기지는 참으로 놀라운 충격으로 다가 왔으며 독도 문제의 해결과 나아가 남북의 화해무드라는 일석이조(一石二鳥)의 고무적 결과를 점치게 하고 있다.

민간지원을 넘어 남측 정부의 북측수해 복구 무조건 지원 의지를 밝힌 3일 공식발표는 타이밍을 기가 막히게 맞춘 ‘유효타’임을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뉴욕에 있는 한국계 무역회사인 ‘미주조선평양무역회사’가 북측과 금강산 관광사업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해 이르면 이달 10일쯤 금강산 관광이 재개될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생각해 볼 것은 여기서 그칠 게 아니라, 내친김에 남북이 진정 하나 되는 계기를 필히 만들어 가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 그것이야말로 독도 문제 해결의 지름길임을 우리는 너무도 잘 알고 있다.




엮인글 0 댓글 (8)개가 달렸습니다.
엮인글주소 : http://www.newscj.com/news/articleTrackBack.php?idxno=90616
전체기사의견(8)
김은미
2011-08-05 17:31:13
찬성:0 | 반대:0 찬성하기 반대하기 삭제하기 신고하기
일본 영토가 병들어가고 있으니, 얼마
일본 영토가 병들어가고 있으니, 얼마나 우리나라가 부러울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고민영
2011-08-05 16:40:27
찬성:0 | 반대:0 찬성하기 반대하기 삭제하기 신고하기
외로운 섬 독도의 이야기가 참 오늘따
외로운 섬 독도의 이야기가 참 오늘따라 더 슬프게 느껴집니다. 외교적인 문제를 떠나서 정말 이제는 온 국민이 독도를 지킬 수 있는 방법과 대안을 함께 찾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마도가 우리 땅이라고 되찾는 운동을 하자는 대안책에 저노 많이 공감합니다. 일본이 지리적으로 불리한 형세라는 것은 잘 알지만 억지부리는 것은 너무 곤란하지요~! 국제적 망신을 다아지 않도록 일본이 제발 정신차렸음 하네요
남주연
2011-08-05 15:30:43
찬성:0 | 반대:0 찬성하기 반대하기 삭제하기 신고하기
독도는 우리땅이 맞아요. 필자의 얘기
독도는 우리땅이 맞아요. 필자의 얘기처럼 우유부단했던 과거의 대처가 독도를 너무 아프게 한것 같아요. 이번에는 일본을 강경하게 대응하므로 일단락이 되었으면 돟겠습니다. 현재 일본이 가라 앉고 있으니 독도를 자꾸 들먹이는 것 같아요. 양심없는 일본인...하늘이 보고있다
사과나무
2011-08-05 13:20:48
찬성:1 | 반대:0 찬성하기 반대하기 삭제하기 신고하기
독도와 관련한 이번 해프닝이 정말 해
독도와 관련한 이번 해프닝이 정말 해프닝으로 끝날 줄 알았건만 해외 유력 일간지에 보도되고 난리다. 이게 바로 일본의 꼼수지~ 말도 안되는 주장도 계속 하다보면 모르는 사람 눈에는 정말 그럴수도 있나? 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얼음꽃
2011-08-05 13:19:42
찬성:0 | 반대:0 찬성하기 반대하기 삭제하기 신고하기
이런 때에 독도에 오는 일본 의원들
이런 때에 독도에 오는 일본 의원들 호위해줘야 한다는 친일파 국회의원의 발언은 도대체 뭥미....
이현정
2011-08-05 00:06:09
찬성:0 | 반대:0 찬성하기 반대하기 삭제하기 신고하기
사설의 제목처럼 독도로 인해 남북이
사설의 제목처럼 독도로 인해 남북이 화해, 화합하는 계기가 되길 바래봅니다.
지민
2011-08-05 00:05:04
찬성:0 | 반대:0 찬성하기 반대하기 삭제하기 신고하기
생각이 깊으신 것 같아요..사설을 읽
생각이 깊으신 것 같아요..사설을 읽고 무지한 생각이 깨어나는 듯 하여 많이 배우고 갑니다.
시나브로 투
2011-08-04 23:32:40
찬성:1 | 반대:0 찬성하기 반대하기 삭제하기 신고하기
아주 시원한 글을 대하니 선풍기를 꺼
아주 시원한 글을 대하니 선풍기를 꺼도 될 듯합니다. 그 뉘라서 이런류의 글을 쓴단 말인가? -하여 천지일보 창간 두돌을 축하드리면서 무한경재에서 조중동을 누르고 1등하는 그날까지 힘차게 전진합시다.! 감사합니다.
전체기사의견 보러가기(8)
소셜 계정이 없으신 분들은 뉴스천지 로그인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 회원가입

탑 뉴스를 한눈에 - 클릭

정부·여당, 내년 전통문화재 2천억 지원 추진
템플스테이 예산 ‘123억→200억’ 대폭 증액 불심 잡기?
조선왕실의궤 반환 실무 협의 8월 개시
일본 궁내청에 보관돼 있는 조선왕실의궤 등 한국 도서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문의 | 글마루 정기 구독신청 | 구독신청 | 자동이체신청 | 기사제보 | 문의메일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140-827 서울시 용산구 서계동 7번지 코레일유통빌딩 4층 천지일보 | Tel 1644-7533 | Fax 02-701-5992 | 제보 070-7596-7076
등록번호 서울특별시 아00902 | 등록일 2009년 7월 1일 | 사업자등록번호 106-86-65571 | 발행인: 전춘동
Copyright 천지일보(뉴스천지).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cj@newscj.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