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che) 연합뉴스 : 바른언론 빠른뉴스
  • 폰트확대
  • 폰트축소
  • 인쇄
  • 트위터
  • 페이스북
  • 요즘
  • 미투데이
국민 25% "경어 점차 없어져야"
국립국어원 '2010 국민의 언어의식 조사'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기자 = 우리 국민 약 25%는 높임말이 점차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욕설이나 비속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한다는 국민도 크게 느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국어원이 2005년에 이어 두번째로 지난해 7월6일부터 한 달간 전국 만 20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남녀 5천 명을 면접조사해 10일 공개한 '2010년 국민의 언어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어에 관심이 있다'는 응답자는 2005년 60.9%에서 2010년 45.5%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아름다운 국어의 기준으로는 '외국어나 한자어가 아닌 우리 고유의 말'(34.9%)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지만 '경어가 적절히 사용된 말'이라는 응답은 5년 전 28.2%에서 19.1%로 낮아져 경어에 대한 의식 변화를 보여줬다.

   경어 사용에 대해 '반드시 유지, 존속돼야 한다'는 응답은 2005년 87.5%에서 2010년 78.1%로 다소 낮아졌다. 특히 '경어는 상하 관계를 강요하는 불평등의 요소가 많으므로 점차 없어져야 한다'는 응답이 11.4%에서 25.0%로 두 배 이상 늘었다. '경어는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는 응답도 26.9%에서 31.8%로 증가했다.

   '욕설이나 비속어를 자주 사용한다'는 응답은 49.0%로 2005년(50.5%)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욕설 및 비속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한다는 비율은 1.2%에서 13.5%로 크게 늘었다.

   방언 사용에는 더 관대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방언 사용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의견은 62.0%로 2005년 조사의 26.3%보다 월등히 높아졌다. TV 대담ㆍ토론 출연자의 방언 사용에 대한 부정적 의견도 60.5%에서 44.1%로 낮아졌다.

   '표준어를 사용한다'는 비율은 47.6%에서 38.6%로 낮아졌다.

   국립국어원의 이번 조사는 2005년에 이은 두 번째로, 지난 5년간 국민의 언어의식과 사용실태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된다.

   doubl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11/02/10 11:52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