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獨島)가 다케시마(竹島)라니 !!! 바로가기 클릭
▶ "독도는 우리땅" 바로가기 클릭
뽑혀져 나자빠진 쪽바리의 한반도 침략의 가증스런 증거물인 다케시마 말뚝에다
1953년 한국산악회가 힘차게 꽂아둔 우리의 자랑스런 태극기 !
6·25전쟁 중 일본이 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해 설치해 놓은 나무 말뚝을 뽑아내는 한국산악회 회원들의 사진이 공개됐다. 이 사진은 원로 사진작가 김한용(金漢鏞·81)씨가 6.25전쟁 상황중(1953년)에 대한민국 山 역사의
명실상부한 대표격인 한국산악회와 함께 독도에 들어가 찍은 것이다.
이 말뚝은 6·25전쟁 중이던 1952년 6월 일본인 9명이 수산시험선을 타고 와 설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높이 2m가 넘는 이 말뚝에는 한자로 "島根縣 隱地郡 五箇村 竹島 (시마네켄 오치군 고카무라 다케시마)"라고 쓰여 있다.

1953년 10월 15일 독도의 동도에 상륙해 일본인들이 박아놓은 말뚝을 뽑아내는
한국산악회 회원들

전면에 "독도" "獨島" "LIANCOURT(리앙쿠르)"를 새긴 표석을 직접 설치하는
홍종인 한국산악회 회장(당시 조선일보 주필). 홍 회장은 "이 표석은 넓이가 두 자 가량,
높이는 자가 웃, 부피는 한 자 조금 못 된다"는 기록을 남겨 놓았다.(한 자는 약 30.3cm이다). Liancourt Rocks(리앙쿠르 록스)는 국제해도에서 독도를 지칭하는 프랑스語다.

이 표석은 1년 전인 52년 8월15일 설치하려고 준비했던 것이라 뒷면에는 "15th AUG 1952" (1952년 8월15일)이 새겨져 있었다.

표석을 설치한 뒤 독도에 상륙한 16명의 대원이 모여 기념사진을 찍었다.
맨 앞줄의 모자를 쓰고 사진기를 멘 이가 김한용씨

산악회 조사대는 측지반, 기록반, 보도반 등으로 구성돼 있었다. 측지반이 동도 정상으로 올라가며 측량하고 있다.

한국산악회는 독도의 동도로 상륙해 해변에 텐트를 치고 하루 야영을 했었다.

산악회원들은 서덕균 대위가 지휘하는 해군의 905정을 타고 독도에 들어갔었다.

자일을 이용해 하강하는 당시 한국산악회원

독도에 모닥불을 피워놓고 야영을 하는 52년前 한국산악회원
사진 : 김한용 사진작가
사진출처 : 주간동아 (2005년 3월 15일 '476호' 8~11쪽)
▶독도(獨島)가 다케시마(竹島)라니 !!! 바로가기 클릭
▶한국산악회 홈페이지 바로가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