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터리 위안부기림비 안된다” 美기림비 갈등에 쐐기

글자크기 글자 크게글자 작게

“엉터리 위안부기림비 안된다” 美기림비 갈등에 쐐기

[뉴시스] 입력 2013.04.04 11:30 / 수정 2013.04.04 12:33



한인들, 뉴저지 포트리기림비 문제 서명운동

【뉴욕=뉴시스】노창현 특파원 = “성접대에 욱일전범기?”

추진단체 간에 알력을 빚고 있는 미국 뉴저지 포트리 타운의 위안부기림비 문제 해결을 위해 한인들이 나섰다고 ‘글로벌웹진’ 뉴스로(www.newsroh.com)가 전했다.

일본군강제위안부추모위원회(이하 위안부추모위)는 3일 뉴저지 해켄색 시민참여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많은 문제점이 드러난 위안부기림비의 문구와 조형물 디자인을 설립 취지에 맞게 변경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견엔 추모위의 김동찬 위원장과 한누리 프로그램디렉터, 뉴저지단체장협의회 장기봉 간사 등 3인의 위안부추모위원들이 나와 포트리 기림비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하고 올바른 위안부기림비 건립을 위한 서명운동을 전개한다고 선언했다.

추모위는 “지난 1월10일 포트리 시의회가 기림비 건립안을 승인한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나 현재 추진 중인 기림비 문구나 조형물이 의미와 동떨어지고 적절하지 않다”면서 “원안대로 만들어질 경우 강제위안부 생존자들은 물론, 아시안커뮤니티의 반감을 살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추모위는 모두 6가지 문제점을 거론했다. 첫째는 ‘동아시아 모든 국가에서(Every country in Asia)’라는 표현이다. 동아시아는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를 포함하지 않는다. 게다가 피해자 중엔 네덜란드 호주 등 유럽권 여성들도 있었다. 다른 기림비와 마찬가지로 피해국들을 구체적으로 적시하라는 것이다.

둘째, ‘성 접대(Sexual Service)’가 강요됐다’ 라는 표현이다. ‘성 접대’는 상업적인 매춘을 의미하며 따라서 일본이 우기는 ‘위안부=매춘부’의 빌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추진단체가 이 문구를 기자들의 지적에 따라 수정하겠다고 구두약속했으나 한 달이 지난 현재까지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추모위는 ‘성노예(Sexual Slavery)’로 변경할 것을 다시 한번 요구했다.

셋째, ‘일본제국 육군(the Japanese Imperial Army)’의 표현이다. 여성들을 유린한 군인들은 육군만이 아니라 해군과 공군 등 제국주의 일본의 모든 군대였다. 따라서 ‘일본제국군(the Armed Forces of Imperial Japan)’으로 수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자신들과 자녀들에게 끔찍한 고통을 입히며(with terrible consequences to themselves and to their children)’ 라는 문구다. ‘자신들(themselves)’은 문맥상 행위의 주체인 ‘일본제국 육군’이며 자녀들은 이들의 자녀로 해석이 된다. 어처구니없게도 위안부 피해자의 고통이 아니라 일본 군인들과 자녀들의 고통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 포트리 기림비의 조형물은 욱일전범기 앞에 앉은 소녀의 모습이다. 대다수 아시아인들은 일본전범기에 극도의 거부감을 갖고 있다. 전범기를 통해 일본의 전쟁범죄를 표현하려는 의도로 보이지만 결과적으로 반일 감정을 자극하고 피해자를 위로하는 기림비에 가해자의 심볼을 넣는 것은 옳지 않다는 지적이다. 김동찬 위원장은 “마치 홀로코스트 기림비에 나치 독일의 문양을 넣는 것과 똑같다”며 욱일전범기의 제거를 요구했다.

여섯째는 일본 대사관 앞 소녀상을 본딴 한복 입은 소녀의 이미지다. 한국에 있는 소녀상과 달리 포트리 기림비는 여러 국가 출신의 피해여성들과 아시안커뮤니티를 위한 것이므로 피해국 여성들을 포괄적으로 상징할 수 있는 이미지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장기봉 위원은 “팰팍의 1호 기림비와 최근 버겐카운티 기림비를 세운 추모위원회의 경험과 노하우를 제공하겠다는 의사를 여러 차례 전달했음에도 이런 문제점들이 발생한 것은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김동찬 위원장은 “기림비의 오류를 수정하지 않는다면 차라리 안 하는 게 낫다”고 강조하고 “포트리 시의회가 제대로 된 기림비를 승인하도록 한인사회가 서명운동에 적극 참여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서명은 시민참여센터가 배포하는 양식에 직접 사인하거나 온라인(www.kace.org)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한편 이날 회견엔 미 주류신문인 버겐 레코드와 중국계 미디어 등 타민족 기자들도 취재해 눈길을 끌었다.

robin@newsis.com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프린트 메일로보내기 내블로그에 저장
기사공유
더보기